반응형
안녕하세요! 전기기사 시험을 준비하며 공부하시는 여러분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. 혹시 지난 포스팅에서 다뤘던 4과목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을 열심히 공부하셨나요? 이번에는 5과목 전기설비기술기준을 다루어 보겠습니다. 이 과목은 실제 전기설비의 설계와 안전 기준을 학습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. 꼼꼼히 정리했으니 끝까지 집중해주세요!
전기기사 4과목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: 기출문제와 공식 정리
안녕하세요! 전기기사 시험을 준비하는 모든 분들을 응원합니다. 혹시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던 3과목 전력공학에 대해 열심히 공부하셨나요?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기사 4과목 회로이론 및 제
csbanker.com
1. 전기설비기술기준의 주요 내용
전기설비기술기준은 전력 설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정해진 기준입니다. 주요 학습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:
- 전선 및 케이블의 선택과 설치 기준
- 접지 및 보호 설비
- 배선과 배전 방식
- 변압기 및 보호 계전기
- 안전 장치 및 유지 관리
2. 자주 나오는 기출문제 TOP 20
문제 번호 | 주제 | 내용 |
---|---|---|
1 | 전선 굵기 | 허용 전류에 따른 전선 선택 |
2 | 접지 방식 | TT, TN, IT 시스템 비교 |
3 | 보호 계전기 | 과전류 및 누전 보호 |
4 | 절연 저항 | 설비별 최소 절연 저항값 |
5 | 배전 방식 | 복도체와 다도체의 차이 |
6 | 변압기 손실 | 철손 및 동손 계산 |
7 | 전력 퓨즈 | 퓨즈 정격 선정 기준 |
8 | 차단기 | 차단 용량 계산 |
9 | 전력 설비 도면 | 도면 심볼 및 해석 |
10 | 전기 설비 점검 | 주요 점검 항목 |
11 | 접지저항 측정 | 측정 방법 및 기준 |
12 | 과전류 보호 | MCCB 및 ELCB 활용 |
13 | 케이블 절연 | 시험 전압과 기준 |
14 | 배선 규격 | 온도에 따른 허용 전류 |
15 | 변압기 설치 | 환기 및 안전 거리 |
16 | 전선의 색상 | 위험 전압과 중성선 색상 |
17 | 피뢰기 | 설치 위치와 기준 |
18 | 차단 시간 | 전기 사고 시 차단기 반응 |
19 | 전력 설비 유지 | 주기적 점검 계획 |
20 | 누설 전류 | 허용 기준과 대처 방법 |
3. 공식과 예시 풀이 20개 정리
번호 | 공식 | 예시 | 풀이 |
---|---|---|---|
1 | I = P / (V * PF) | P=5kW, V=220V, PF=0.8 | I = 5000 / (220 * 0.8) = 28.41A. 부하의 소비 전력을 전압과 역률로 나누어 전류를 계산합니다. |
2 | Z = √(R² + X²) | R=3Ω, X=4Ω | Z = √(3² + 4²) = √(9 + 16) = 5Ω. 저항과 리액턴스 값을 제곱한 후 합하여 제곱근을 구합니다. |
3 | P = V² / R | V=220V, R=44Ω | P = (220²) / 44 = 48400 / 44 = 1100W. 전압을 제곱한 값을 저항으로 나누어 전력을 계산합니다. |
4 | V = IR | I=10A, R=5Ω | V = 10 * 5 = 50V. 전류와 저항 값을 곱하여 전압을 구합니다. |
5 | P = VI cosθ | V=220V, I=10A, θ=30° | P = 220 * 10 * cos30° = 220 * 10 * 0.866 = 1904W. 전압, 전류, 역률을 곱해 유효 전력을 계산합니다. |
6 | XL = 2πfL | f=60Hz, L=0.1H | XL = 2 * 3.1416 * 60 * 0.1 = 37.7Ω. 주파수와 인덕턴스를 곱하여 리액턴스를 구합니다. |
7 | XC = 1/(2πfC) | f=60Hz, C=10μF | XC = 1 / (2 * 3.1416 * 60 * 10 * 10⁻⁶) = 265.26Ω. 주파수와 캐패시턴스를 이용해 용량 리액턴스를 계산합니다. |
8 | τ = RC | R=1kΩ, C=1μF | τ = 1000 * 1 * 10⁻⁶ = 1ms. 저항과 캐패시턴스를 곱하여 시정수를 계산합니다. |
9 | E = 1/2CV² | C=10μF, V=100V | E = 0.5 * 10 * 10⁻⁶ * 100² = 0.05J. 전압과 캐패시턴스를 이용해 에너지를 계산합니다. |
10 | Irms = Ipeak/√2 | Ipeak=14A | Irms = 14 / 1.414 = 9.9A. 피크 전류를 루트2로 나누어 RMS 전류를 구합니다. |
11 | P = 3VI cosθ | V=380V, I=15A, θ=45° | P = 3 * 380 * 15 * 0.707 = 12102.6W. 3상 전력은 전압, 전류, 역률을 곱하여 계산합니다. |
12 | Q = VI sinθ | V=220V, I=10A, θ=30° | Q = 220 * 10 * sin30° = 220 * 10 * 0.5 = 1100VAR. 유효 전류와 역률로 무효 전력을 계산합니다. |
13 | S = VI | V=220V, I=10A | S = 220 * 10 = 2200VA. 피상 전력은 전압과 전류를 곱하여 구합니다. |
14 | θ = tan⁻¹(X/R) | X=4, R=3 | θ = tan⁻¹(4/3) ≈ 53.13°. 리액턴스와 저항으로 위상각을 구합니다. |
15 | Z = V/I | V=220V, I=10A | Z = 220 / 10 = 22Ω. 전압을 전류로 나누어 임피던스를 계산합니다. |
16 | I = √(P/R) | P=100W, R=25Ω | I = √(100/25) = √4 = 2A. 전력을 저항으로 나눈 후 루트를 취해 전류를 구합니다. |
17 | Vrms = Vpeak/√2 | Vpeak=311V | Vrms = 311 / 1.414 ≈ 220V. 피크 전압을 루트2로 나누어 RMS 전압을 계산합니다. |
18 | P = 3I²R | I=10A, R=5Ω | P = 3 * 10² * 5 = 1500W. 전류의 제곱에 저항을 곱하고, 이를 3배 하여 전력을 구합니다. |
19 | fc = 1/(2πτ) | τ=0.001s | fc = 1 / (2 * 3.1416 * 0.001) = 159.15Hz. 시정수를 이용하여 차단 주파수를 계산합니다. |
20 | E = P × t | P=100W, t=2h | E = 100 * 2 = 200Wh. 전력과 시간을 곱하여 에너지를 계산합니다. |
4. 추가 학습을 위한 사이트
전기설비기술기준과 관련한 더 자세한 정보를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:
5. 마무리
이번 포스팅에서는 전기기사 5과목 전기설비기술기준을 정리했습니다. 기출문제와 공식 풀이를 통해 공부 방향을 잡으시길 바랍니다. 다음 포스팅에서도 더욱 유익한 내용을 준비할게요!
반응형
'전기자격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기기사 4과목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: 기출문제와 공식 정리 (0) | 2025.01.16 |
---|---|
전기기사 3과목 전력공학: 합격을 위한 필수 정보와 공식 (0) | 2025.01.08 |
전기기사 자격증 2과목: 전력공학 - 핵심 정보와 출제 유형 완벽 분석 (0) | 2025.01.05 |
전기기사 자격증 1과목 : 전기자기학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1.04 |
전기자격증 완벽 가이드: 시험과목부터 공부 계획까지 (0) | 2025.01.03 |